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하천공간정보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표준벡터데이터 모델의 검증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하천공간정보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표준벡터데이터 모델의 검증
학술지명 제39회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저자 신형진,권성일,황만하,채효석
발표일 2013-10-25


   국내 하천관련 공간정보 서비스 시스템들의 자료수집, 저장 및 이용체계는 문제점이 없으나 정보의 공유 및 활용 면에서 아직 미흡한 점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정보의 일원화된 포탈개념의 검색 및 이용 등의 자료이용 체계가 중요하다. 기존에는 기초지형공간, 하천공간, 유역공간 등에 관련된 주제도 개념의 접근방식으로 정보시스템 구축이 주된 흐름이었으나, 이러한 접근법에서는 주로 Feature, 속성 및 메타데이터 개념으로 DB를 기술하는 방식이었고 Stand-alone 방식의 시스템구축이 주된 목적이었다. 그러나 여기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하천 데이터 모델은 이러한 국내의 다부처 수자원 관련 시스템들을 서비스 측면에서 통합하고 단일 방식의 서비스 기법을 제시하여 검색어를 통하여 누구나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국제표준화기구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공간자료 표준화 단체인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 Inc.) 등의 표준을 조사 분석하고 그 표준을 준용하여 하천공간 데이터 모델의 규격을 정립하였다. 
   하천공간정보 DB 들간의 공간정보 공유, 상호교환, 유통 등의 상호운용성을 높이기 위한 표준화 작업들은 개방형 인터페이스 설계 표준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표준화 작업에서는 하천공간정보 DB 자체에 대한 스키마 설계 절차 및 방법 등은 고려하고 있지 않고, 상호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하거나 공간 DB의 추상스키마 표준만을 제안하고 있다. 설계 표준 없이 서로 다른 데이터 모델에 따라 개별적으로 구축된 하천공간정보 DB들간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공유는 데이터 모델의 상이성으로 인해 정보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공간정보 DB를 구축할 때 서로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구축된 지리정보시스템들간의 공간 데이터 모델, 논리적 구조, 의미 구조 등을 통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천공간정보 DB의 모델을 개발하였다. 
   하천공간정보 표준벡터데이터 모델 검증을 위해 낙동강유역의 강정고령보유역과 창녕합천보유역의 RIMGIS 벡터공간정보를 수집한 결과 강정고령보유역은 하천경계, 표석위치, 횡단측량기준점, 하천구역, 홍수관리구역, 하천중심선, 제방, 호안, 배수펌프장, 수문, 보, 수문조사시설 및 교량 등 총 27개의 정보와 창녕합천보유역은 표석위치, 횡단측량기준점, 하천구역, 하천중심선, 제방, 호안, 배수펌프장, 수문, 보, 수문조사시설 및 교량 등 총 23개의 정보를 대상으로 표준벡터데이터모델을 적용하였으며 변환시 오류는 0%로 모델의 문제점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하천공간정보 표준데이터모델은 하천공간정보의 공유, 상호교환, 유통 등의 상호운용성을 높이기위한 개방형 인터페이스의 기반이 될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하천관리자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시스템을 개선하고, 이를 위해 첨단 Smart River 정보관리 및 활용 기술 개발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