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주암댐과 이사천댐의 연계운영을 고려한 이수안전도 분석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주암댐과 이사천댐의 연계운영을 고려한 이수안전도 분석
학술지명 제39회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저자 이광만,권태영,지정원,최창원,이재응
발표일 2013-10-24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 집중현상이 심화되어갈수기 용수부족으로 인한 가뭄 발생 위험이 커지고 있으며, 인구의 증가와 산업의 발달로 인해 물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용수공급시설의 신설이 필요하지만, 입지선정의 어려움, 지역사회의 반발 등 여러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기존댐의 이수안전도 평가를 통한 효율적인 댐 운영방안 마련은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 수계에  위치한 주암댐과 이사천댐의 연계운영을 고려하여 이수안전도 분석을 수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암댐은 우리나라 최초의 유역변경식 다목적댐으로 이사천댐과 도수터널로 연결되어 있다. 도수터널 유량은 두 댐의 수위차에 의해서 결정되고 결정된 저류량이 주암댐에서 이사천댐으로만 공급된다. 두 댐의 이수안전도를 평가하기에 앞서 Visual Basic을 통해 연계운영 모의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은 저류방정식을 기본 방정식ㅇ로 사용하며 저수지내 수위와 방류 우선순위에 따라 방류량을 결정한다. 총 모의 운영기안은 2000년부터 2012년까지 13년동안 총 4,749일 일간 운영을 수행하였으며, 초기 수위는 두 댐의 상시만수위를 적용하여 모의하였다. 모의 운영 결과 주암댐은 총 268일의 용수부족이 발생하였고, 이사천댐은 용수부족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두 댐의 이수안전도를 신뢰도, 복원도, 취약도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암댐은 94.4%의 신뢰도와 10%의 회복도, 0.9백만톤의 취약도가 산정되었고, 이사천댐은 용수부족이 발생하지 않아 100%의 신뢰도가 산정되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