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남댐은 임진강에 건설된 댐으로 상류 유역이 북한지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류 북한지역의 댐과 연계되어 있다. 댐의 수위는 평수기에는 일정 수위를 유지하고, 홍수기 및 상류댐의 비상방류시는 수문을 개방 운영하도록 되어 있다.
군남댐 건설 전 임진강에는 총 어류가 54종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상대 우점도 20.9%의 피라미이고 다음은 돌고기(9.4%), 참갈겨니(8.9%), 쉬리(7.8%), 돌마자(5.7%) 순이었으며, 멸종위기 2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는 돌상어(4.0%), 묵납자루(2.4%), 꾸구리(2.4%), 가는돌고기(1.1%)의 4종 모두 1% 이상의 출현을 보여 군남댐 지역의 하천이 잘 보전된 지역이었다. 그러므로 댐을 건설하면서 어류의 상하류 이동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어도를 시설하였다.
군남댐의 어도는 풀형식의 계단식 어도를 자연적인 하천의 형태로 조성하였으며, 어도 상류측 출구부는 내수위를 대응하기 위하여 다단형 롤러게이트 및 방류 관거로 구성되어 있다.
군남댐 어도는 2012년 4월부터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2012년 4월부터 11월까지 1회/월로 조사하였다. 조사는 트랩을 이용한 24시간(주간 3시간 간격, 야간 12시간 간격) 전량 포집방법을 사용하였고. 트랩은 상류 방류수조 앞, 노치와 잠공에 설치하여 시간대별 및 소상 위치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첨부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