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력성과 탄력적 물관리, 그리고 물안보-1. 탄력성의 개념과 탄력적 물관리의 등장 |
---|
학술지명 한국수자원학회
저자 김현식,김정곤,고덕구,박정은
발표일 2013-05-28
|
Economic Forum, WEF)은 매년 세계가 직면한 전지구적 위험요인을 평가하여“Global Risks”라는 보고서를 발간한다. 올해 초 발표된 보고서에는 세계가 직면한 총 50가지 글로벌 위험 요인을 5가지 부문(경제, 환경, 지정학, 사회, 기술)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 보고서에서는 10년내 발생가능성이 높은 5대 위험과 발생시 글로벌 영향력이 큰 5대 위험에 모두 물공급 위기(Water Supply Crises)를 꼽고 있다(그림 1). 특히 세계 경제 및 지구환경시스템에 대한 스트레스가 커지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양 시스템 모두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상황이 닥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WEF, 2013). 따라서 인간의 생존뿐만 아니라 여러 부문과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는 수자원의 대응력 강화가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다가오고 있다. 더욱이 문제는 국가간, 분야간에 고도로 연계된 오늘날의 사회에서, 한 나라의 위기는 그 나라의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파장이 다른 지역과 다른 분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의 물 사정은 어떠할까?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11-2020)(국토해양부, 2011)을 살펴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