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습지 생태처리조에서의 유기물 변화(II) |
---|
학술지명 한국하천호수학회
저자 박제철,성진욱,오진수,최광순
발표일 2013-08-13
|
본 연구에서는 소옥천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2012년 9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유기물 농도를 조사하였다. 습지 내 유기물 변화를 분석한 결과, BOD와 COD 유기물은 면적이 좁고 체류시간이 짧은「침강지1-침강지2」를 통과하는 초기동안에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면적이 넓고 체류시간이 긴「깊은 습지-얕은 습지-생태침강지」를 통과하면서 식물플랑크톤 증식에 의해 유기물이 내부에서 생산되어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OC와 DOC는 BOD, COD 유기물과 유사한 경향으로 조사되었으나, 농도변화 폭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습지 TOC 유기물 중 DOC의 비율은 약 89%로 용존성 유기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친수성 또는 소수성 유기물을 판단하는 SUVA 값은 모두 3이하로 습지유기물의 대부분은 분해가 가능한 친수성 유기물로 조사되었다. 소옥천 인공습지는 현재 조성 초기 단계로 향후 습지가 안정화될 경우 유기물의 변화가 또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계절별, 강우 특성 및 유입 특성에 따른 다양한 자료를 확보하여 습지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