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옥천 인공습지에서의 N, P 처리효율 |
---|
학술지명 한국하천호수학회
저자 성진욱,박제철,최광순,이성우
발표일 2013-02-14
|
본 연구에서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수질정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유입부→ 침강지 1→ 침강지 2→ 깊은 습지→ 얕은 습지→ 생태침강지→ 방류부?로 구성된 소옥천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2012년 9월부터 11월까지(월 1회) N, P 분포특성을 조사하였다. 유입수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는 용존성 인은 습지로 유입되어 유수흐름이 정체되면서 크게 성장한 조류의 영양원으로 이용되어 침강지 1, 2에서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입자성 인의 농도는 깊은-얕은 습지를 통과하면서 체류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침강량이 증가되면서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인공습지에서 처리효율을 분석한 결과 TP 87%, DTP 90%, PO4- 98%로 나타났다. 습지 내 질소는 전체적으로 농도가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입수 농도 중 약 94%가 용존성 형태로 입자성 질소의 형태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입수 용존성 질소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는 암모니아성 질소는 습지로 유입되어 유수흐름이 정체되면서 크게 성장한 조류의 영양원으로 이용되어 크게 감소하였으나, TN과 NO3의 농도는 습지를 통과하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인공습지에서 처리효율을 분석한 결과 TN -4%, DTN 3%, NO3 -20%, NH3 97%로 나타났다. 소옥천 인공습지는 현재까지 운영 초기 단계로써 인의 경우 비교적 높은 제거효율을 보이는 반면 질소의 제거효율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습지가 안정된 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효율적인 습지의 운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