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시화호 상류 기수역에서 입자성 유기물질의 분포 특성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시화호 상류 기수역에서 입자성 유기물질의 분포 특성
학술지명 한국하천호수학회 저자 김세원,최광순,김동섭
발표일 2013-02-14

   본 연구에서는 해수와 담수가 공존하는 시화호 상류 기수역에서 입자성 유기물질(particulate organic matter; POM)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5년과 2006년 3월부터 11월까지 기수역내 7개 지점을 대상으로 입자성유기탄소(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부유성 고형물(suspended solids; SS), chlorophyll a(Chl-a)와 pheophytin a(Pheo-a)을 조사하였다. 또한 POC/Chl-a 비와 POC/Pheo-a 비, 그리고 Chl-a/Pheo 비를 통하여 POM에 대한 조류기원성 POM의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POC 농도는 0.9~76.6 ㎎L-1의 범위로 봄에 높은 계절변화를 보였으며, 특히 2006년 4월에 St2~St.4지점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살아있는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의 지표로 이용되는 Chl-a 농도는 1.3~942.0㎍L-1(mean 71.0. ㎍L-1) 범위를 보였으며, 활성을 잃은 식물플랑크톤을 나타내는 Pheo-a 농도는 1.4~1,545.5㎍L-1(mean 59.9㎍L-1)의 범위로 죽거나 활성을 잃은 식물플랑크톤의 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POC 농도는 Chl-a(r=0.93)와 Pheo-a(r=0.81) 농도와 양의 상관을 보인 것으로 보아 시화호 기수역의 POM의 기원은 조류에 의한 일차생산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POC와의 관계식(POC=82.9Chl-a+1.57, POC=58.0Pheo-a+3.92)으로부터 POC/Chl-a 비(82.9)보다 POC/Pheo-a 비(58.0)가 작게 나타났는데, 이는 POM 양의 많은 부분이 활성을 잃은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것임을 입증해 준다. 그러므로 시화호 기수역과 같이 Pheo-a 농도가 높은 수역에서는 조류기원성 POM의 기여도 평가 시 Chl-a농도와 함께 Pheo-a 농도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