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지역 용수댐 조류발생 특성에 따른 장단기적 조류저감 대책 수립 |
---|
학술지명 한국하천호수학회
저자 권미선,이상욱,최광순,김세원
발표일 2013-02-14
|
본 연구는 경북지역에 위치한 용수댐(운문댐, 영천댐, 안계댐)의 조류발생 특성 및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각 댐별 환경특성을 고려한 장·단기적 조류저감 기술을 선정하여 최적운영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3개 댐 오염부하량 현황 분석결과, 축산계와 토지계가 차지하는 비율이 약 83~94%로 총 오염부하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04년부터 ’11년 까지 댐별 조류 종조성 분포 변화 분석결과, 1월~4월 기간 동안에는 규조류가 우점하고, 수온상승 및 강우영향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유입 등 호내 수질악화 우려가 높은 시기인 7월~10월 사이에는 남조류가 우점종으로 분포하는 빈도가 증가하였고, 수온이 하강하는 11월부터는 호내 우점종 분포가 다시 규조류로 바뀌는 현상이 반복되어 나타났다. 댐별 조류 현존량 분포 변화 분석결과, 영천댐은 ‘97년부터 chl-a 농도가 15mg/m3을 초과하는 빈도가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조류경보 발생 기준인 25mg/m3을 초과하는 경우도 다수 발생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주로 7월~10월중 측정된 조사 결과 값이 높은 chl-a 농도 값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문댐과 안계댐은 여름철에 일시적으로 chl-a 농도가 15mg/m3을 초과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호내 chl-a 농도는 15mg/m3 이하로 안정적인 수질분포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