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덕유산 플럭스 타워 지점의 증발산량 산정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덕유산 플럭스 타워 지점의 증발산량 산정
학술지명 한국수자원학회 저자 이현석,채효석,임광섭,김용국
발표일 2013-05-23

물 문제, 기후변화 등 물 이용에 관심이 커짐에 따라 증발산량의 정량화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에디공분산 방법, 미기상학적 방법 및 대류 경계층 수지방법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 에디공분산 방법은 다른 방법에 비해 안정적이다. 이 방법은 주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적으며, 관측지의 환경에 따라 넓은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이용해 미국, 유럽, 호주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도 관측타워를 네트워크로 연결한 관측망(KoFlux) 구축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홍진규, 김준, 2002). K-water 연구원은 11년 4월부터 덕유산을 대상으로 증발산량을 측정하고 있으며, 복잡한 산지지형을 고려하여 12개의 평판분할과 Planar fit rotation 방법을 통해 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일 증발산량은 0.01 ∼ 3.18 mm/day의 변동 폭을 가지고 연평균 증발산량은 0.86 mm/day로 나타났으며, 월별 평균 증발산량은 6 ∼ 9월에 1.1 ∼ 1.7 mm/day의 범위로 가장 많은 양이 발생하였다. 비성장기(3∼5월, 10∼12월)에는 약 0.08 ∼ 0.99 mm/day의 분포를 나타냈다. 4월부터 11월까지의 총 증발산량은 253.6mm로 2011년과 비교하여 증발산량이 20.6 mm(8%) 감소하였다. 플럭스 타워로부터 관측된 자료를 이용해 증발산량이 감소된 원인을 찾고자 주요 인자를 비교 분석하였다. 강우일수가 2011년보다 26일(강수량 202 mm 증가) 증가하였지만, 2012년 4 ~ 5월 가뭄 발생에 따라 증발산량이 감소 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주요인자인 순복사량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일평균온도 또한 2011년도와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