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SWAT모형을 이용한 용담댐유역 수문 평가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SWAT모형을 이용한 용담댐유역 수문 평가
학술지명 한국지리정보학회 저자 최병습,신형진,채효석
발표일 2013-05-09

본 연구에서는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 ooD 모형과 다지점 수문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각 유역의 유출 특성홀 분석하고자 한다 SWAT 모형은 몰리적 기딴의 준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으로서 1 대규모의 복잡한 유역에서 장기간에 걸친 다양 한 종류의 토양과 토지이용 잊 토지관리 상태에 따 른 유출과 유사 및 오영물질의 거동에 대한 토지관리 방법의 영향을 예측이 가능하여, 수자원 판리 계획 및 유역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지원 동 그 적용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 대상유역은 한국수자원공사 용당시험유역의 수위자료률 측정하고 있는 6개 유역(용담멈유역 (930.0 따n') , 동향유역(1 65.1 km2), 천천유역(갱8 .8 krn'), 주천교유역 (55.3 km'), 석정교유역 (85.6 km\ 상도치교유역 (85.56 km') ) 이다.
용답댐유역의 토지이용은 산림 (79.1 %), 농경지 03.6%)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여, 각 소유역은 논 (5.9%-10 .4%), 밭<1 8.0%-25.4%), 산립 (6 1. 0%-73.5%)으로 각 유역마다 특성을 갖고 있다. 용담댐유역과 5 개의 소유역의 유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강우자료는 기상관측소 3 개(장수, 금산,전주)관측소와 기상청,국토해양부,수자원공사에서 관리하는 AWS 19개(덕유산, 덕유봉,무주,동향,주천 ,진안,안천,주천(수),부귀, 상전,계북2, 장계,전천 2,무주,대불,진안(국),안성장, 장수,원통사)의 2000-2012 년 일강우자료률 이용하였다‘ 각 유역의 관측 일유출량 (2002-2012)올 이용하여 각 유역모형의 보정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 지점 수문관측 자료의 활용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