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다지점 수문관측 자료와 SWAT 모형을 이용한 용담댐유역 유출 특성 분석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다지점 수문관측 자료와 SWAT 모형을 이용한 용담댐유역 유출 특성 분석
학술지명 한국수자원학회 저자 신형진,문덕영,채효석
발표일 2013-05-23

본 연구에서는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과 다지점 수문관측 자료를 이
용하여 각 유역의 유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SWAT 모형은 물리적 기반의 준분포형 강우-유
출 모형으로서, 대규모의 복잡한 유역에서 장기간에 걸친 다양한 종류의 토양과 토지이용 및 토지
관리 상태에 따른 유출과 유사 및 오염물질의 거동에 대한 토지관리 방법의 영향을 예측이 가능
하여, 수자원 관리 계획 및 유역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지원 등 그 적용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
대상유역은 한국수자원공사 용담시험유역의 수위자료를 측정하고 있는 6개 유역(용담댐유역(930.0km2), 동향유역(165.1 km2), 천천유역(288.8 km2), 주천교유역(55.3 km2), 석정교유역(85.6 km2), 상도치교유역(85.56 km2))이다. 용담댐유역의 토지이용은 산림(79.1%), 농경지(13.6%)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소유역은 논(5.9%~10.4%), 밭(18.0%~25.4%), 산림(61.0%~73.5%)으로 각 유역마다 특성을 갖고 있다. 용담댐유역과 5개의 소유역의 유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강우자료는 기상관측소 3개(장수, 금산, 전주)관측소와 기상청, 국토해양부, 수자원공사에서 관리하는 AWS 19개(덕유산, 덕유봉, 무주, 동향, 주천, 진안, 안천, 주천(수), 부귀, 상전, 계북2, 장계, 천천2, 무주, 대불, 진안(국), 안성장, 장수, 원통사)의 2000~2012년 일강우자료를 이용하였다. 각 유역의 관측 일유출량
(2002~2012)을 이용하여 각 유역모형의 보정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 지점 수문관측 자료의 활용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