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하천정보 서비스 제안 |
---|
학술지명 한국수자원학회
저자 신형진,고덕구,채효석
발표일 2013-05-23
|
현재 운용되고 있는 물관련 시스템들은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홍수, 가뭄 및 수질오염 사고 등에 대응할 수 있는 각종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보다 더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물관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IT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현재 운영되고 있는 물관리 시스템에 대한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다양한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에서 구축한 많은 양의 데이터베이스를 국가적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빅 데이터(Big Data)나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기술 적용 및 새로운 정보 패러다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보다 새로운 관점의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이는 다양한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에서 구축한 하천 공간자료를 데이터 통합, 연계와 통합 및 분산된 데이터를 쉽게 서비스 할 수 있으며, 타 시스템들과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교환하여 융복합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다. 시스템 별 데이터 포맷이 다른데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구글과 같은 서비스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참여하는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공간정보의 대용량 자료의 다운기능 문제도 해결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대강 사업에 따라 새로이 구축되는 수리?수문관측 환경 구축과 다양한 하천 조사 요구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향후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하천관련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천정보 관리 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하천관련 정보가 방대해짐에 따라 빅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할 수 있는 기반을마련하고, 동시에 하천정보의 접속, 교환, 저장을 이용자의 주문형 서비스와 인터넷 기반의 접근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중장기적 관점의 방향과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