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MGIS 기준의 하천공간정보 현황 분석 연구 |
---|
학술지명 한국지리정보학회
저자 신형진,권성일,채효석,서지원
발표일 2013-05-09
|
일반적으로 하천공간이란 하천 및 호소의 수면을 포함한 그 주변의 하천부지와 섬, 댐 및 제방 등을 포함한 하천을 주체로 한 공간을 의미한다(건설교통부, 2002). 1980년대 이전 하천관리는 주로 이수와 치수면에 집중되어 왔으나, 최근 국민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다양한 욕구와 함께 하천환경 및 하천공간에 대한 인식도가 크게 변화하였다(건설교통부, 2002). 하천의 이수와 치수를 비롯한 환경생태, 문화공간적인 면까지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수량 및 수질관리와 함께 하천공간에 대한 관리가 필요했으며, 이에 앞서 하천공간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하천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이루어졌다(양재린 등, 2002). RIMGIS를 비롯한 많은 하천관련 정보시스템은 편리하고 유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고 지원하기 위하여 신뢰성이 높고 다양한 하천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효율적인 수자원의 개발과 관리, 유역 관리와 하천공간의 활용을 위해서 수자원 분야의 정보화 및 하천 GIS 주제도를 구축하였다(황의호 등, 2005). 하천공간정보는 하천관련 정보시스템의 하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사용되므로 효율적인 관리가 요구되며, RIMGIS 공간정보는 하천관련 정보시스템의 공간정보 구축에 있어 바탕이 되고 있으므로 하천관련 정보시스템의 공간정보 현황을 RIMGIS를 기준으로 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