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송수관로 내 민물담치(Limnoperna fortunei) 제어 기술 고찰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송수관로 내 민물담치(Limnoperna fortunei) 제어 기술 고찰
학술지명 한국환경기술학회 저자 신재기,신이숙,정선아
발표일 2013-05-31

민물담치는 홍합과에 속하는 담수산 이매패류로서 중국과 남동 아시아지역 강과 소하천의 수중에 부착 서식하는 홍합과 패류생물이다. 본 종은 1965년에 홍콩에서, 1990년에 일본와 대만에서 각각 발견되었다. 이후 1991년에 남미 Plata Basin 을 통해 파라과이, 우르과이, 브라질 및 미국으로 전파되었다. 이것은 고유 대형무척추동물상과 풍부성을 변화시키게 하였고, 취수구와 냉각기 설비를 훼손시켜 커다란 경제적 피해를 야기 하였다. 한국의 한강, 낙동강, 금강 및 섬진강, 중국의 동강에 서식하는 군서 부착형 패류이며, 잠재 생식력이 높고 성장률이 높으며 수류가 완만한 큰 하천의 중하류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용수공급지의 오염원인 패류생물로 알려져 있는 종이다. 폐쇄 수역내 민물담치 서식의 확인으로 관로내 민물담치로 인한 부식과 착수정에서의 생물파울링을 저감하기 위한 민물담치 제어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민물담치의 제거 방안을 검토하고 관로내에 적용가능한 최적 방안을 도출하려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