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WH의 처리에 따른 조류제거 특성에 관한 연구 |
---|
학술지명 한국 물환경학회
저자 최일환,이은정,백경희,박연정,송대성,최돈혁
발표일 2013-03-21
|
부영양화와 지구 온난화에 따라 남조류 수화현상이 빈번해지고 조류주의보 및 조류경보 발생일수가 증가하고 있다. 2012년 준공된 4대강 공사 이후에 보 관리에도 수량 관리뿐만 아니라 조류 관리가 중요하다. 현재까지 부영양화 된 댐?저수지 및 하천오염수체의 수질개선을 위해 다양한 물리?화학적 제거방안, 생물학적 제거방안 연구와 수중식물에 의한 영양염류 제거 등 다양한 조류제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Anderson, 1997; Cooke et al., 2005). 기존에 활용중인 다양한 조류 제거 기술은 예방 보다는 주로 발생 시 적용하는 기술이며, 녹조 대 발생 시에도 처리효율이 떨어져 뚜렷한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녹조발생 초기에 처리함으로서 녹조발생을 최대한 방지하고, 대발생 시 효과적인 제어와 2차 오염의 우려가 없고, 안전성이 확보되며, 경제적인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이러한 요구에 가장 근접한 기술인 천연 조류제어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water 연구원과 MCE Korea(주)가 공동 개발한 천연 조류제어제인 KMWH의 조류종에 따른 제거경향을 분석하고, 반응시간에 따른 조류제거효율 및 KMWH의 적정 투입농도를 알아보았으며, 기존의 조류 제어제로 주로 사용되는 황토, 황산동 및 응집제인 폴리염화알루미늄(PAC), 폴리수산화염화황산알루미늄(HIB-PAHCs)과의 조류제거효율을 비교해보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