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다기능보의 수위 및 방류량에 따른 조류생물량 변동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다기능보의 수위 및 방류량에 따른 조류생물량 변동
학술지명 한국하천호수학회 저자 정선아,신재기,김지훈
발표일 2013-02-15

본 연구는 4대강에 설치된 16개 다기능보 방류에 따른 chl-a 변동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2012년 6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한국수자원공사 실시간 수문정보시스템(HDAPS)의 일 방류량과 환경부에서 측정 된 chl-a 자료를 사용하였다. 한강 수계의 보에서 chl-a 월별 변화 양상은 계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나타나다가 7월초에 강우에 의한 방류량 증가로 급격하게 감소하며, 이후 수온이 올라간 8월에는 농도가 증가한다. 그리고 다시 강우에 의한 방류량 증가로 농도가 감소하여 이후 계속 낮은 농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수계의 보에서 chl-a 월별 변화 양상은 낙동강 상류에 위치한 상주보, 낙단보, 구미보, 칠곡보의 경우 한강 수계의 보들과 마찬가지로 강우에 의한 방류량 증가로 8월 이후 chl-a 농도가 감소하여 나타나지만 10월 이후에는 수온이 감소함에 따라 규조류인 Aulacoseira granulata의 발생으로 chl-a 농도가 증가하여 나타났다. 강정고령보, 달성보, 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에서도 규조류가 발생하였지만 10월에 농도가 높아지지 않은 것은 우점한 종의 특성이 chl-a 농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강 수계와 영산강 수계에서도 강우에 따른 방류량 증가로 농도의 증감을 반복 하다가 10월 이후에 규조류의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chl-a의 농도가 증가하여 나타났다. 이처럼 방류량 증가로 인한 보 내에서의 chl-a 농도 변화가 뚜렷히 나타났으며 chl-a 농도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추후 방류량뿐만 아니라 수온, 조류 종의 특성, 체류시간, 주요유입지천에 의한 영양염류 유입등 조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각 수계별 특성에 따라 고려하여 종합적인 조류 발생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겠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