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DC 모형을 적용한 홍수파 해석에 관한 연구 |
---|
학술지명 대한토목학회
저자 황필선,이창림,조완희,허영택,김현식
발표일 2012-10-18
|
최근의 기후변화 및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대규모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홍수규모가 거대화되어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집중호우나 태풍으로 인한 피해 복구비용은 피해액보다 몇 배의 예산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홍수재해에 대한 예방적 투자가 절실하며, 더욱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정책 및 방재 대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극심한 기상이변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이상홍수의 예측에 관한 사항은 치수?이수는 물론 친수관점에서 볼 때 자연하천의 관리시에 매우 중요한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홍수피해에 대한 사회적인 안전과 국민의 신뢰확보를 위해서는 정교한 홍수파 해석을 실시하고 예상되는 홍수위 변동양상을 파악함으로써 발생 가능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수립이 요구된다. 홍수파에 대한 하천흐름 해석을 위해 국내?외 다수의 모형이 개발되어 실무에 적용되고 있으나 극한홍수에 대하여 1차원 하천해석 모형으로 계산된 수위와 유량은 정확도와 안정성 측면에서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서의 홍수파에 대한 부정류 해석에 주로 적용되고 있는 FLDWAV 모형과 다차원 해석모형인 EFDC 모형의 홍수파 해석결과를 비교?분석하여 하천에서의 홍수파 해석시 EFDC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FLDWAV 모형은 다양한 상?하류 경계조건 및 내부 경계조건 적용, 상?사류 및 혼합류 흐름 해석, Kalman Filter 기법을 결합한 실시간 홍수예측 등이 가능한 1차원 해석모형이나, 입력자료 중 단면입력 제한 등에 따라 하도 및 제내지의 지형을 보다 구체적으로 반영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4대강 사업 및 도시화에 따른 수변지역 개발, 위락시설 등 친수공간의 활용 증대로 하천 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