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격자기반 강우유출모형(K-DRUM)의 장기유출 모의기능 개발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격자기반 강우유출모형(K-DRUM)의 장기유출 모의기능 개발
학술지명 한국수자원학회 저자 강신욱,김현식,박인혁,허영택,황필선
발표일 2012-06-20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강수 패턴 변화, 토지피복 및 토지이용 변화 등 수자원 분야에서 다양한 변동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관측 자료를 토대로 유역특성을 정의하여 유출모의를 수행하는 모형의 신뢰도에 영향을 주게 되어 장기적 유출특성 변화를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문학적 유역 특성에 대해 물리적 기법을 적용한 유출모형 개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외에서 다양한 물리적 기반의 유출모형을 개발하고 사용자 편의기능을 적용하여 상용모형 형태로 제공하기도 한다. 
   K-DRUM(K-water Distributed rainfall RUnoff Model)은 K-water에서 자체 개발한 물리적 기반의 격자단위 강우-유출모형으로서 초기에는 레이더자료를 활용한 단기 홍수유출해석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격자기반 모형의 단점인 과도한 계산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MPI 기법을 적용한 병렬화 코드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성능향상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최근에는 K-DRUM 모형을 단기 홍수유출 분석뿐만 아니라 연단위 장기유출 분석에 활용하기 위해서 유역의 증발산량 산정 및 융?적설 등을 모의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개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유출모의를 위해 기존에 발표된 증발산 및 융?적설관련 이론을 이용하여 K-DRUM 모형에 모듈형식으로 적용하였고, 재현성 분석을 위하여 남강댐 유역을 대상으로 장기유출모의를 수행하였다. 모의결과 홍수기 기간(여름)에는 강우에 의한 직접유출량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증발산 기능을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 유출량 차이가 크지 않지만, 이수기(봄, 가을, 겨울)의 경우에는 직접유출보다 기저유출량이 상대적으로 커서 유출량에서 상당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선된 K-DRUM 모형은 단기 홍수유출 뿐만 아니라 증발산 및 융?적설을 고려한 장기유출 분석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유역 특성변화를 고려한 장기유출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격자기반 유출모형의 활용이 활발해 지기를 기대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