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댐담수 전,후 수질변화 원인분석 및 안정화방안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댐담수 전,후 수질변화 원인분석 및 안정화방안
학술지명 제29회 한일기술교류회의 저자 송상진,사성오,이상욱,이승윤
발표일 2012-10-30

- 댐 건설후 조성되는 호소는 하천의 유수환경이 정수환경으로 바뀌어 수리, 수질, 생태계 등 변화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호소 수질관리를 위해 환경계획 단계에서 목표수질을 COD 항목으로 설정, 유역 및 호소내 수질관리 대책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 담수가 시작되면 강우시 유입된 유역기원 오염물질과 수몰지내 식물잔재물 및 토양흡착 물질등 각종 유기물 및 담수후 호소내부 생성물질이 담수 초기 수체의 수질변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신규 댐 건설시 담수초기 타 수질항목에 비해 COD 농도가 급격히 증가한 후, 수년 후 일정 농도 범위로 수렴되거나 하천상태와 유사한 농도로 안정화되고 있다.
- 그리고, 담수 초기의 호소 수질이 장기간 수질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다.
- 따라서 담수후 호소의 긍정적인 수질변화를 위해 수질변화 현상을 분석하고 원인을 규명하여 이에 대한 수질개선대책 또는 예방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 저수지 담수 후 수질변화의 원인분석에 대해서 지금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결과는 없었음. 따라서 본 연구과제 수행을 통해 담수시 수질변화의 주요 현상을 분석하여 합리적인 호소 수질관리 대책 및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저수지 담수 후 수질변화의 원인분석에 대해서 지금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결과는 없었음. 따라서 본 연구과제 수행을 통해 담수전,후 유입하천과 호소내 COD와 유기물질의 분포특성과 기원을 추적하고, 시험방류시 호소내 유기물질 체류시간의 변화를 통한 향후 수질전망에 대해 모의하여 담수후 수질변화의 주요 현상을 규명, 합리적인 호소 수질관리 대책 및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