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연속형 대형 인공호 (Serial Impoundment)에서 남조류 및 이취미 발생 예측을 위한 2차원 수리수질모델 적용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연속형 대형 인공호 (Serial Impoundment)에서 남조류 및 이취미 발생 예측을 위한 2차원 수리수질모델 적용
학술지명 한국환경생물학회 저자 안광국,정선아,신재기
발표일 2012-12-24

우리나라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수돗물 문제는 남조류에 의한 이취미 유발 물질 (2-MIB, Geosmin)의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수자원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대형 인공호에서 이에 대한 예측 시스템 개발은 전무한실정이다. 본 연구는 CE-QUAL-W2의 2차원 수리수질모델을 이용하여 조류 기원성의 이취미 물질 발생을 예측함으로서 이 취미 물질에 대한 사전통제 및 대응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사전연구로서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2009 - 2011년 동안 의암댐 ~ 팔당댐의 연속형 대형 인공호들이 위치한 북한강 수계를 대상으로 하였고, 남조류 및 이취미 물질 발생시기 예측을 위한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남조류 발생 예측을 위해 북한강 수계의 의암호, 청평호 및 팔당호의 인공호와 인공호 사이의 하천구간에 대해서는 총 5개의 수체로 격자를 구성하였으며, 모의 항목은 규조류(Diatom), 남조류(Bluegreen), 기타조류 등 3 가지 분류군을 포함한 14개 항목으로 구성하여 Simulation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리수질 모델링 분석 결과에 따르면, 팔당호의 남조류 및 이취미 물질 발생은 주로 6 ~ 7월에 집중되었으며, 2차원 모델은 조류발생 및 소멸시기를 잘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온과 수체류시간 등 물리적 조건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남조류가 급격히 증식하는 것으로 예측 되었으며, 실제 이취미 발생기간과 모의 결과가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대형 인공호에 대한 예측 모델링 시스템은 남조류의 발생 시기를 잘 재현하여 사전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