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영산천 유역의 지하수 수위 분포 특성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영산천 유역의 지하수 수위 분포 특성
학술지명 대한지질공학회 저자 고민정,이승현,전항탁,김규범
발표일 2012-11-08

지하수는 지하의 보이지 않는 지층구조에서 매우 천천히 유동하므로 수위하강 및 수질오염 발생을 늦게 인지할 경우 원상회복이 불가능할 수 있고, 지하수 장해를 인지한 이후의 대처 과정에서도 기존의 관측자료가 없거나 부족할 경우에는 원인분석과 대책수립이 지연되거나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지하수 관측은 기본적이며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지하수 관측은 지하수의 상태에 대한 관측, 특정 경우 법률의 올바른 이행의 감시 확인을 위한 관측, 가뭄/홍수 등의 조기 경보 활용 등 다양한 목적에 따라 세분화 되어 사용용도 및 분석 방향 등이 상이할 수 있다.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및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서 우리나라 대하천에 4대강 사업을 통해 총 16개의 보가 설치되었는데, 하천준설 및 보 설치로 인하여 하천수위 하강이 발생한 지역은 강 주변 지역의 지하수위 하강 및 지하수량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반대로 하천수위가 상승한 지역은 지하수위 상승으로 인한 농작물의 피해 및 ‘지하수 홍수’와 같은 지하수 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과 함께 풍부한 지하수량으로 인한 강변여과수 개발 등의 지하수활용의 이점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 해결과 개발 방안 모색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지하수 관측이 필요하며 이로부터 도출된 수문 환경의 변화 특성을 토대로 보다 체계적으로 대하천변 지역의 지하수 관리를 위한 지하수 활용 및 관리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대강 사업으로 인한 하천 환경의 변화에 따른 하천 인근 지역의 지하수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창녕-함안보 직상류 좌안에 위치한 영산천-덕곡천 지역의 지하수위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