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댐 위험도 평가기법 개발 연구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댐 위험도 평가기법 개발 연구
학술지명 4대공사연구원 공동심포지움 저자 임정열
발표일 2012-02-16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로 기상이변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상강우로 인하여 가능최대홍수량(PMF)은 약 45% 증가하였고, 일본은 규모 9.0의 지진으로 인한 쓰나미로 엄청난 인명피해 및 경제적 피해를 입었다. 댐 시설물과 같은 사회기반시설물의 안전을 위협하는 가장 큰 영향 요소들은 크게 기후변화(Climate change), 노후화(Aging) 또는 열화(Deterioration)로 나타낼 수 있다. 이처럼, 댐 및 시설에 대한 안전관리의 개념은 자연재해에 대한 인간의 반복적인 적응 능력 향상, 재해로부터 안전한 삶의 욕구에 대한 증가로 안전성 평가보다는 취약성, 위험도 감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미국, 호주 및 네덜란드 등 수자원 기술분야의 선진국들은 기후변화의 위협에 대하여 수리시설물이 공학적, 경제적 측면에서 합리적인 안전성을 확보해 나갈 수 있는 새로운 안전관리 패러다임으로 위험도 분석/평가(Risk Analysis and Assessment)를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국제대댐회(ICOLD)와 기타 관련 학회를 중심으로 각국의 전문가들이 댐 위험도 분석 및 평가 사례 등을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댐 안전도 및 위험도에 대한 개념 재정립을 통하여 위험도 기반 평가 Tool 개발 등 댐 안전관리 체계의 선진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