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연료전지의 개발현황 및 실용화 가능성 연구 |
---|
학술지명 한국환경기술학회
저자 김병군,김지연,김연권,김홍석
발표일 2012-12-17
|
미생물연료전지는 미생물의 촉매작용에 의해 유기물을 산화하고,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이다. 전력생산과 동시에 하폐수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미생물연료전지는 지속가능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앞선 기술이다. 그러나, 현재 낮은 전력밀도와 같은 여러 요인이 규모확대와 실용화에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 미생물연료전지 실용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1) 최대전력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수의 특성이 전기활성 미생물이 잘 분해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양질의 유기물 공급을 위한 저에너지 전처리 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2) 상용화를 위해서는 미생물연료전지를 실규모로 키우면서도 전력손실이 없는 scale-up 기술이 필요하다. 3) 미생물연료전지 제작단가를 낮추지 않고는 실용화를 할 수 없으므로, 충분한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가격이 싼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4) 전기활성 미생물의 우점화 등 전력밀도 향상을 위한 최적 운전조건 도출 및 5) 미생물연료전지를 포함한 수처리 공정에서 최적의 전력밀도의 발생, 발생된 전기의 축전, 축전된 전기를 이용한 기계의 구동 등 시스템 제어 및 운전기술을 개발하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