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직선 및 곡선 하도에서 유도틀 설치 조건에 따른 지형다양성 유도 연구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직선 및 곡선 하도에서 유도틀 설치 조건에 따른 지형다양성 유도 연구
학술지명 한국물환경학회 ? 대한상하수도학회 저자 김선영,김동섭,최동호,심하용,오세현,이건승,황길순
발표일 2012-03-21

하천은 사업발전과 근대화 사업의 과정에서 이·치수적인 목적으로 행해진 하천정비(저수로 호안의
콘크리트화, 인공둔치와 제방 조성, 직강공사 등)로 인해, 자연 하천의 기능을 상실하고 인공하천으로 바
뀌었다. 그 결과 수질악화와 하천의 범람이 빈번히 발생하였고 하천의 생태적 기능을 상실한 단순 ‘배수
로’의 기능만을 가지게 되었다. 자연적인 하천의 기능 복원을 위해서는 ‘물의 흐름’과 ‘흐름의 영향을 받
는 주변 환경’ 에 서식하는 생물과 서식처를 아우르는 생태 환경 고려가 필수적이다. 하천형태를 바꾸는
인공적인 공사를 통해 물을 강제적으로 흐르게 하여 하천 주위 생태환경을 파괴하기 보다는, 유도틀을
설치해 물의 유속과 흐름을 유도하여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다양한 지형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 필요하
다. 일본의 나고야 기후(岐阜)현에 위치한 자연공생센터에서 인공하천의 유량, 유속에 따른 하천 지형변
화를 연구하여 직선 및 곡선하도의 홍수기 하상 변화와 주변생물의 생물다양성 보전기능 등을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변찬우, 2011). 미국의 Saint Anthony Falls Lab.(Minnesota Univ.)은 곡선하도에 3차원
Flow, Sediment 이송 분석 장치를 이용해 하상에 설치된 다양한 형태의 유도틀이 하상 및 수변부 지형
변화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James, 2011). 본 연구는 인공적으로 조성된 직선 및
곡선 하도에서 유도틀의 형태와 설치 각도, 개수, 유도틀 간 설치 거리를 달리하여 하상과 수변부의 다
양한 지형 변화를 유도하였으며, LiDAR(RIEGL VZ - 400)측량을 통해 하상과 수변부의 지형적 변화를
정량적으로 나타내어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로 부터 모의 실험상의 다양한 변화요소를 사전
비교 평가하고, 실제 하천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