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지반 굴착에 따른 주변지역 지하수 탁도 변화 특성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지반 굴착에 따른 주변지역 지하수 탁도 변화 특성
학술지명 2012 춘계 지질과학기술공동학술대회 저자 손영철,김재홍,김규범,박준형
발표일 2012-04-18

 경인아라뱃길 사업 중 김포터미널 건설현장 부지 주변에 위치한 얕은 지하수이용공의 양수시 탁도 증가현상을 지질과 토양의 지화학적 특성과 지반 굴착의 지하수유동과 관련하여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탁도란 물의 물리적 특성의 하나로서 산란 흡수 등의 광학적 ?v성으로 평가된다. 이는 물의 순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유물질이나 비순수성에 의하여 야기된다. 비순수성은 점토, 실트 세립질 유기물 및 비유기물, 용해성 유색 유기물 합성체, 플랑크톤 및 기타 미세 유기물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광학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므로 물의 색상도 탁도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지하수의 경우 적색을 야기하는 이온의 고농축 현상이 주요 원인이다.
 본 지역에서 17~32NTU의 분포를 보이는 JH1지점, 11~16NTU를 보이는 JH2지점, 그리고 1~3NTU를 보이는 JH3,4지점의 4개소를 대상으로 지질 및 토양특성, 지하수의 지화학 특성을 조사하였다. 토양특성을 파악한 결과, JH1지점은 흑운모 화강암 및 그 풍화산물인 점토 실트층이 분포하는 곳으로서, 주변의 편마암과는 다른 모암의 특성을 갖고 있다. 지화학 분석결과 및 JH1 지점의 산화물인 적색 토양에 의하면, 본 지점은 환원환경에 있으며, 철망간의 이온 농도가 매우 높다. 따라서, 지하수 양수시 철망간 이온의 산화에 의한 흡착, 침전 등이 함철산화물 또는 수산화물을 형성하여 미세입자를 형성할 뿐 아니라 물의 색을 적색으로 보이게 하여 탁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며, 지질조건상 철망간 이온 성분이 풍부한 JH1지점에서 주변지역 굴착에 따라 지하수위가 변동하고 유로의 재형성 및 유동상태의 변화가 장기 유지됨으로써 용존산소가 급격히 공내로 유입되면서 산화환경에 부분적으로 노출이 되어 철망간의 침전물이 급격히 증가한 것이 탁도 발생의 원인이 되며, 한편, JH2지점은 JH1지점에 비하여 이온의 농도가 낮은 편이나 타 지점에 비하여 훨씬 높아 탁도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