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아라천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분포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아라천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분포
학술지명 한국조류학회 저자 민한나,신재기,정선아
발표일 2012-10-25

본 연구는 경인아라천의 수질을 조사하여 향후 수질 및 수생태계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지점은 아라천의 주요지점인 인천터미널, 시천교, 계양대교, 김포터미널로 총 4지점이다. 조사시기는 2011년 11월부터 2012년 9월까지 매월 1회씩 총 11회에 걸쳐 식물플랑크톤을 조사하였다. 
인천터미널, 시천교, 계양대교 및 김포터미널에서 관찰된 분류군은 총 37속 56종이 출현하였다. 이 중에서 규조류는 17속 29종, 남조류는 3속 4종, 녹조류는 8속 14종, 유글레나조류 및 황색편모조류는 2속 2종, 갈색편모조류는 3속 3종, 와편모조류는 1속 1종이었다. 이 결과, 규조류와 녹조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한강, 굴포천 및 서해에서 공통적으로 출현한 분류군은 총 28종이었다. 규조류 Cyclotella meneghiniana, Stephanodiscus hantzschii f. tenuis, 남조류 Actinastrum hantzschii, Chlamydomonas sp., 녹조류 Euglena sp., Trachelomonas sp. 등이 포함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총 현존량은 인천터미널에서 가장 높았고(평균 15,034 cells/ml), 시천교(평균 12,629 cells/ml), 계양대교(평균 11,278 cells/ml), 김포터미널(평균 5,897 cells/ml) 순이었다. 모든 지점에서 규조류 및 녹조류가 우점하였으나, 영양염이 높게 나타나는 한강 및 굴포천의 영향을 받는 계양대교, 김포터미널은 상대적으로 녹조류가 높게 출현하였다. 이에 따라 인공적 기수역인 아라천의 수질 및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어 이에 적절한 수질관리 및 방안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