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OECD 환경전망 2050」과 우리나라의 물관리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OECD 환경전망 2050」과 우리나라의 물관리
학술지명 한국수자원학회 저자 박정은,김정곤
발표일 2012-10-29

OECD 2050 전망보고서의 물 챕터는 깨끗한 물에 대한 접근은 인간의 삶에 기본적인 요소라는 말로 서두를 시작한다. 2050년은 먼 미래가 아니다. 따라서 이번 OECD의 전망은 전세계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물, 생태환경, 보건 분야를 아우르는 장기적인 전망 수치를 제시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대책들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또한 깨끗한 물에 대한 중요성의 증가와, 물에 대한 다양한 수요 간의 경합 심화 및 물 가용성에 대한 불확실성 증가로 중대한 정책적 변화 및 물관리 절차와 기법에 현저한 개선 없이는, 2050년까지 물수급 상황이 더 악화될 것이라는 이번 OECD 전망이 향후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하겠다. 우리에게 닥친 환경문제가 복잡한 만큼 장기성, 통합성, 현실성, 일관성, 재정적 지속가능성, 정치적 수용가능성 등, 우리에게 요구하는 정책 마련의 요건 역시 간단하지 않다. 우리에게 닥친 환경문제는 단기간에 해결될 사항이 아니다. 그러므로 미래 압력에 대비한 기술?정책 개발과 역량 구축, 그리고 국민적인 인식의 제고가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은 물 스트레스가 가장 심한 국가로서 이를 완화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지금까지 축적한 물관리 기술을 활용 국제 원조 및 협력 확대를 통해 국제사회에 더 많이 기여하고 물관리 선진국으로서의 국제적 위상을 정립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OECD 국가들 중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함으로써 녹색혁신 분야에 선두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OECD에서도 선진사례로 꼽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에 물과 녹색성장 및 4대강살리기 국제심포지움 등 다양한 국제행사를 개최하였으며, 금년 9월에는 제1차 World River Forum, 2015년에는 제7차 World Water Forum을 한국에서 개최하여 그간의 경험을 공유할 계획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