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환경전망 2050」과 우리나라의 물관리 |
---|
학술지명 한국수자원학회
저자 박정은,김정곤
발표일 2012-10-29
|
OECD 2050 전망보고서의 물 챕터는 깨끗한 물에 대한 접근은 인간의 삶에 기본적인 요소라는 말로 서두를 시작한다. 2050년은 먼 미래가 아니다. 따라서 이번 OECD의 전망은 전세계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물, 생태환경, 보건 분야를 아우르는 장기적인 전망 수치를 제시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대책들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또한 깨끗한 물에 대한 중요성의 증가와, 물에 대한 다양한 수요 간의 경합 심화 및 물 가용성에 대한 불확실성 증가로 중대한 정책적 변화 및 물관리 절차와 기법에 현저한 개선 없이는, 2050년까지 물수급 상황이 더 악화될 것이라는 이번 OECD 전망이 향후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하겠다. 우리에게 닥친 환경문제가 복잡한 만큼 장기성, 통합성, 현실성, 일관성, 재정적 지속가능성, 정치적 수용가능성 등, 우리에게 요구하는 정책 마련의 요건 역시 간단하지 않다. 우리에게 닥친 환경문제는 단기간에 해결될 사항이 아니다. 그러므로 미래 압력에 대비한 기술?정책 개발과 역량 구축, 그리고 국민적인 인식의 제고가 필요한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