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군남홍수조절지 댐에 설치된 어도의 효율연구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군남홍수조절지 댐에 설치된 어도의 효율연구
학술지명 한국환경과학회 저자 김동섭,류태상
발표일 2012-10-15

군남홍수조절지댐은 비홍수기에는 EL.31.0 m까지 담수하고, 홍수기에는 담수량에 따라 롤러게이트와 래디얼게이트를 통하여 수위를 조절하는 운영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어도로 유입되는 물은 수중펌프를 통하여 공급된다. 이로 인하여 어도의 유인수 수질은 댐의 담수에 의해 좌우 될 것으로 판단된다. 2012년 4월 ~ 9월 동안 5회에 걸쳐 측정된 수온은 평균 23.3℃였으며 최고 28.8℃, 최저 17.8℃로 계절적인 변동을 보였다. 용존산소는 평균 9.0 mg/L였으며 pH는 8.4였다. 전기전도도는 평균 130.6 μS/cm이었으며, 탁도는 12.1 NTU로 나타났다. 계단식 어도의 노치 유속은 평균 0.87 m/s이고 잠공은 1.13 m/s로 잠공의 유속이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pool의 상부는 4.0 x 3.0 m인 반면 하부는 3.0 x 3.0 m로 수압이 높으며, 잠공의 크기가 0.3 x 0.6 m로 비교적 크게 조성되어 통과할 수 있는 유량이 많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조사기간 동안 군남홍수조절지댐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34종 3,159개체로 기존의 국내에 조성된 화천댐과 장흥댐 어도에 비하여 많은 종이 어도를 이용하였다. 화천댐의 경우 2009년 ~ 2010년에 조사에서 어도를 이용한 어류는 17종 244개체였으며, 장흥댐에서 2008년 ~ 2010년에 조사된 어도 이용 어류는 22종 38,019개체였다(환경부, 2011). 장흥댐의 경우 조사기간 동안 빙어가 비교풍부도 80.0%를 차지하며 극우점한 반면, 군남댐의 경우 돌고기(25.6%), 참중고기(20.1%) 및 줄납자루(14.0%) 등 다양한 출현 경향을 나타내었다. 어도를 이용한 어류 중 멸종위기야생동물 II급으로 지정되어 있는 가는돌고기와 묵납자루가 각각 32개체, 13개체가 채집되었으며, 대한민국고유종은 꺽지, 미유기를 포함하여 15종으로 고유종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치와 잠공의 이용은 노치에서 30종 2,172개체, 잠공에서 26종 987개체로 개체수에서 약 2.2배 차이가 있는 반면 종수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잠공을 통해 메기, 눈동자개 등 저서성 어류의 소상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대별 어도 이용율에서는 주간(9시-21시)에 33종 2,392개체가 채집되었고 야간(21시-익일9시)에 21종 767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주간에는 메기를 제외하고 조사기간에 채집된 어류가 모두 채집되었다. 세부적인 시간대별 채집에서는 9시-12시 15종 567개체, 12시-15시 20종 814개체, 15시-18시 18종 686개체, 18시-21시 20종 325개체 및 21시-익일9시 21종 767개체가 채집되어 야간(21시-익일9시)을 제외하고는 12시-15시에 어도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댐 어도의 효율성 또는 적합성은 어도의 형식 및 구조와 함께 댐체 수문의 운영에 따라 현저하게 달라진다. 군남홍수조절지댐의 경우 강우가 집중되는 5월에서 10월까지 수문을 완전개방 또는 일부 개방하는 형식을 유지해야 하는 댐으로 이 시기에 어도의 효율성 및 어류 이동 안정성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 회유성 어류와 소형어 등을 비롯한 저서무척추동물의 이용도 확인되어 어도의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국내외의 댐어도 설치 및 운영관리를 위해 지속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