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속과 수심에서 실험한 결과 A type에서 유인용 수로 통과횟수 206회, 유인수로 통과횟수 135회로
가장 높은 유인율을 나타냈으며, B type에서는 어도 유인용 수로 통과횟수는 62회, 유인수로 통과횟수는
20회로 나타났다. 물 흐름 방향과 수로의 형태를 가지는 C type은 어도 유인용 수로 통과횟수 4회, 유인
수로 통과횟수 1회로 집계되어 3가지 형태 중 가장 낮은 유인율을 보였다. 따라서, 실측 데이터와는 다
소 차이가 있겠으나 댐의 측면에 어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입구부의 와류를 최대한 방지하는게 첫 번
째 과제로 판단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① 입구부의 수로폭 확대, ② 본 수로 흐름 방향에 맞추어
와류 현상을 최대한 억제하고, 실험 결과와 같이 ③ 소(沼)를 형성시켜 유인수와 본류수의 와류 지대를
다른 곳에 형성시킴으로서 입구 부분의 와류 지역을 최소화시켜 어류가 본능적으로 유인수를 찾아 이동
하도록 유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어류 유인 유도로(보)각이 150o일 때 어류 통과 횟
수가 187회로 90o일 때와 약 6.68배 가량 이동율의 차이를 나타내어 유인 유도로(보)가 좁아질수록 어류
의 이동율은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되어 ④ 유인 유도로(보)의 각도를 90o보다 큰 둔각으로(90o∼180o) 조
성하여 어류가 유인 유도로(보)를 따라 어도 유인용 수로로 유도하도록 하는 형태를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