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대형 저수지에서 조류제어 차단막의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 대청호 사례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대형 저수지에서 조류제어 차단막의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 대청호 사례
학술지명 한국환경생물학회 저자 정선아,김지훈,안광국
발표일 2012-06-15

물리적 녹조저감 기술 중의 하나인 조류제어차단막(커튼형 수류차단막)은 다량의 영양염류를 포함한 하천수가 조류성장에 유리한 표층으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차단막 설치 하류수역의 조류의 대발생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경제적이며 생태영향이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저수지인 대청호에 설치된 차단막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2011년 5월~9월까지 저수지 상하류 구간의 연직 수질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차원 및 3차원 모형을 적용하여 설치 전후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3차원모형 ELCOM을 적용하여 차단막 설치 유무에 따른 유속변화를 분석한 결과, 댐앞 지점과 회남 수역에서는 영향이 거의 없었고 차단막 직하류 지점에서는 차단막 설치로 인한 영향이 직접적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차단막 하단부에서의 유속이 커지고 차단막 하류부로 흐름이 유도되는 효과로서 확인할 수 있었다. 2차원 수리수질모형인 CE-QUAL-W2를 적용하여 대상기간 동안 설치 유무 조건에서 표층 Chl-a 농도를 비교한 결과, 회남수역에서 최대 33.9%의 저감효과가 예측되었으며 댐앞은 16.4%로 계산되었다. 1차 강우 이후 차단막으로 인해 조류가 하류(댐앞)구간으로 이동하지 않고 차단막 상류에서 성장하는 현상이 모델링 결과로서 확인되었다. 차단막이 없는 경우 저수지 상류에 분포하던 조류가 2차 강우 및 여수로 방류 이후 하류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차단막이 있는 경우 하류로 확산되지 않아 댐앞 및 회남수역에서 조류저감 효과를 보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