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보기술(IT)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하천관련 데이터의 정보화에 있어서도 이미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연구에 의해 정보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하천관련 자료는 각종 정부기관과 학술단체 및 비정부단체 등에서 생산되며 이렇게 발생된 자료들 간의 상호작용을 아는 것은 물과 환경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물 관련 과학을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여러 가지 관련 자료 및 자료의 출처를 발굴하고,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정보관리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동향 중에서도 개방형 연구를 지향하고 있는 미국 CUAHSI(Consortium of Universities for the Advancement of Hydrologic Science, Inc)의 하천정보화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하천관리 체계의 패러다임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CUAHSI는 미국과학재단(NSF, National Science Foundation)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현재 미국 내 112개의 가입대학과 7개의 준가입대학, 그리고 16개 국제가입국가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CUAHSI에서 수행하는 연구 활동의 하나인 CUAHSI-HIS 프로젝트는 수문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배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연구의 기술적 집약체인 HIS (Hydrologic Information System)을 통하여 글로벌 프로젝트로 발돋움하고 있다.
HIS는 다음 Table 1과 같은 세 개의 핵심적인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요소들은 Fig 1과 같이 상호작용을 통해 구동되게 된다.
Fig 2는 위에서 설명한 세 개의 핵심요소가 HIS를 통해 어떻게 자료를 수집, 통합, 탐색, 분석, 출판하는가를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통합자료 운영체계는 HydroServer의 구성요소를 위한 소스코드를 수용하고 여러 물 관련 공동체의 참여를 유도하기위해 설치되었다. 이는 공동체를 바탕으로 하는 코드개발에서 최종 말단사용자를 수용하기 위한 방편이며, HIS프로젝트는 반복적이고 나선형적인 소프트웨어 개발방식을 채택하였다. 이러한 개발방식은 유연하고 역동적인 특성 때문에 오픈소스 프로젝트에서 흔히 수행하는 접근방법이다. 또한 모델의 소프트웨어 출시에 필요한 완벽한 기능을 제공하기 어려운 공동프로젝트에 적합하며 개방된 구조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제 3자에 의해 아직 발견되지 않은 기능이나 성능들이 쉽게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CUAHSI-HIS의 하천정보화 현황 분석결과에서 도출된 결론은 개방적인 오픈소스 연구를 추구하여 다양한 결과가 도출되고 공유하는 방향의 연구가 필요하며 국내 여건에 맞도록 여러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