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이상가뭄 대비 다목적댐의 비상용수 평가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이상가뭄 대비 다목적댐의 비상용수 평가
학술지명 방제심포지엄(한국대댐회) 저자 이광만
발표일 2012-05-29

현대사회에서 용수공급은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큰 변동성에 노출되어 있다. 용수공급 계획에서는 이와 같은 변동을 줄이고 계획량을 부족없이 공급해 주는 방안을 찾게 된다. 보장공급 혹은 높은 수준의 물 공급은 용수공급 시스템 건설 이후 운영적 실패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이다. 그러나 계획이나 설계 당시 적용한 수문자료의 불확실성, 즉 이용 가능한 자료기간의 한계, 조사 자료의 부정확 및 관리, 해석 방법의 부적합 및 정치적 영향력 그리고 기후변화 등 많은 요인에 의해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이런 불확실성 요소들이 결합되어 더 큰 불확실성을 내포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어떤 계획이던 필요로 하는 용수수요를 항시 만족시킬 수는 없으며 용수부족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이상가뭄 발생시 비상공급수원이 없을 경우 가뭄의 강도와 지속기간에 따라 엄청난 사회?경제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수자원 시설물은 용수공급의 안정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무한정 크게 개발할 수 없고 경제성과 타당성 그리고 비용의 적정 배분과 사회적 공평성 등을 고려하게 된다. 따라서 수자원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용수공급 계획은 제한된 수문정보와 경제성을 바탕으로 계획을 평가하기 때문에 장래 이상가뭄 등 계획 당시에 고려하지 못했던 현상들을 운영과정에서 직면할 수 있다. 실제 우리나라는 운영과정에서는 이수안전도를 초과하는 이상가뭄 발생시 용수부족이 발생할 경우 대체수원 개발 등 딱히 마땅한 대처수단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대부분의 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비상용수 공급원을 확보하는 전략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이상가뭄에 의한 용수부족사상을 용수부족지표(water shortage index)를 이용하여 평가하고 저수(低水)용량을 비상용수 공급원으로 활용할 경우 용수부족 감소 효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이상가뭄에 취약한 댐을 대상으로 용수공급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비상용량을 추정하여 제시하였다. 적용 결과 임하, 대청, 합천 및 남강댐의 경우 SI, DPD 및 GSI 등의 지표값이 높아 극한가뭄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가적인 비상용수 확보가 요구되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