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상수관망의 종합적 진단기법 개발 및 적용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상수관망의 종합적 진단기법 개발 및 적용
학술지명 대한환경공학회 저자 이두진,김주환,최종섭,배철호,김도환,김세환
발표일 2011-08-22

우리나라에 근대적인 수도가 보급된지도 100여년이 넘었고, 그동안 지속적인 시설확충과  재정투자를 통하여 오늘날 전 국민의 92.1%가 수돗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수도공급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성장에도 불구하고 누수로 인한 공급계통의 물손실, 수돗물의 수질을 신뢰하지 않는 소비자, 지역간 수도요금 및 서비스 격차 등 질적인 측면에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 있다.  
  최근 발표된 상수도통계(2009)에서도 상수관망에서 누수인해 손실되는 양이 연간 약 657,739천톤으로 약 4000억이 넘는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며, 연간 1,044,066건의 민원 중 요금관련 민원 70% 이외에는 누수(12.8%), 과수압, 단수, 출수불량 등 관로관련 민원이 대부분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수관망이 가지는 누수, 수질저하, 시설노후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지혜롭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망이 가지는 문제의 원인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진단, 평가 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고, 이러한 진단결과를 토대로 관망정비, 유수율제고, 운영관리 고도화 등이 계획되어야 효과적인 사업추진이 가능하다.
 본 연구진이 개발한 관망진단 기법에서는 관망의 기능을 수리, 수질, 시설 분야로 구분하고 각 기능별로 필요한 성능인자와 인자별 중요도를 부여하여 진단항목을 도출하였으며, 관망도 작성, 수리해석, 수질분석, 시설건전성평가 등 단위 기능별 성능을 평가하는 단계와 이를 종합하여 개량물량을 결정하고 개량공법을 선정하는 의사결정 단계로 구분하여 진단하는 절차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진단 Tool의 현장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G시를 시범사업지역으로 선정하여  관망진단ㆍ평가를 통한 관망정비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진단기법의 적용 전ㆍ후의 효과를 비교, 제시 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