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과학적 상수관망 관리를 위한 상수관망 진단 및 운영관리시스템(water-NET) 개발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과학적 상수관망 관리를 위한 상수관망 진단 및 운영관리시스템(water-NET) 개발
학술지명 상하수도학회 저자 김주환,김한수,최종섭,배철호,김세환,이두진
발표일 2011-10-01

상수관망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관종과 펌프, 밸브, 계측기기 등으로 구성된 거대한 시스템으로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시설노후화, 운영관리 미흡에 의한 파손, 누수 등의 사고로 인하여 성능(Performance)저하 및 에너지 손실 등이 발생하므로 건설이후에도 안정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막대한 예산투자가 필요한 사회기반 시설이다. 
  미국은 향후 2025년까지 노후관망 개량을 위하여 $77~ $325 billion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상수관망 개량사업과 종합적인 성능향상을 위한 진단과 평가, 그리고 개량기술 등의 확보가 큰 이슈가 되고 있다(EPA, 2002). 일본의 경우에도 전체 수도자산이 37.3조엔이고 이중 관로부분이 24.6조엔으로 전체 자산의 약 66%를 관로가 차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09년 강원도 태백지역에서 최악의 가뭄과 높은 누수율로 인해 일시적으로 17만명이 제한급수 고통을 겪었으며, 이로 인해 노후수도관에 대한 진단 및 운영관리 고도화 필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정부차원에서 상수관망 최적관리시스템 구축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관망개선을 위한 진단/평가 기법과 정비이후 효율적인 운영관리를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수관망은 수량안정성, 수질안전성, 시설건전성, 에너지효율성 등의 목표가 각 요소들의 유기적인 역할수행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개별요소의 기능과 통합시스템의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능에 대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평가기법과 이를 종합하여 의사결정 할 수 있는 체계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 상수관로의 운영 및 유지관리 고도화를 목적으로 IT 기반의 스마트 상수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지능형 상수관망 시스템의 핵심기술은 상시(常侍)에는 수량, 수질, 에너지 등 관망의 실시간 운영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운영의 최적화를 도모하고, 파손, 수질오염 등 비상시(非常時)에는 사전에 준비된 대응시나리오에 따라 단수구역 최소화, 비상연계 공급  등을 통하여 소비자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에 K-water는 ‘04년부터 수처리선진화사업(Eco- STAR Project) 상수관망분야 주관기관으로 참여하여「고품질 수돗물 공급을 위한 상수관망 최적관리 기술 개발」과제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관망시스템의 성능을 진단(Dr.Pipe)하고, 실시간 감시를 기반으로 운영관리(Net.Operation)를 할 수 있는 상수관망진단/운영관리시스템(water-NET)을 개발하였고, 시범사업('09.06-'11.05) 을 통하여 그동안 개발된 기술을 검증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고에서는 water-NET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하고, 시범사업의 효과분석을 통하여 향후 국내 상수관망의 과학적인 진단과 운영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