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대규모 수리시설물과 연계된 찌타룸 권역에서의 장기유출모형 구축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대규모 수리시설물과 연계된 찌타룸 권역에서의 장기유출모형 구축
학술지명 대한토목학회 저자 맹승진,이상진,김주철,김정곤
발표일 2011-11-04

통합 수자원 관리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WRM)의 효율적인 구현을 위하여 수량, 수질, 환경, 생태 등을 망라한 종합적인 유역관리 의사결정지원시스템(Decision Support System, DSS)은 필수적이다. 수계 전체를 고려한 DSS의 구축은 기존의 단일 댐 위주의 유역관리 방안에 대비되는 새로운 전략의 수립을 요구하며,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이수 및 치수관리를 목적으로 한 최적운영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단일 저수지 및 저수지군을 중심으로 수행되어 오고 있다. 우선적으로 신뢰성 있는 하천유출량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Toolkit으로써 Kwater에서는 SSARR 모형을 기본 엔진으로 하는 일단위 유출을 연속적으로 모의할 수 있는 수문학적 강우-유출모형을 개발하여 다양한 유역에 적용한 바 있다. 미국 공병단(US Army corporation)에서 개발된 SSARR 모형은 다른 유출모형에 비하여 저수지 연계운영과 수리시설물 모의조작 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수 관리의 근간이 되는 저수유출을 모의할 수 있는 장점을 갖추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내 저수지 운영제어가 가능한 SSARR모형을 이용하여 인도네시아 제1의 대수계 찌타룸 권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수리시설물을 고려한 유역통합 장기 유출 모형을 구축하였다. 수문학적으로 독립된 여러유역들이 댐과 도수로로 연계되어 있을 경우 한개의 통합 유출모식도를 작성하고 평?갈수기와 홍수기의 일단위 유출 모의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