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 또는 지표수의 온도는 강 주변의 물의 흐름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
는 추적자로서, 하천수 수온의 온도 변동 특성 분석뿐 아니라 천부 지하수와 하천수의 상호 작
용을 평가하는데 이용되며 지하수의 유동상태 및 대수층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온
도 자료를 활용한 연구 사례로서, 박창희 외(2002)는 지하수의 온도 변화 관측 자료를 이용한
지하수 함양량 산정 연구를 하였고, 이정환 외(2009)는 온도 추적자와 시계열 분석을 통한 낙동
강 주변의 지하수 유동 특성을 연구하였다. 외국에서는 Yokoyama(1993)는 지하수 유동 연구에
대한 자연적인 지하수 온도 추적자의 유용성과 차후 수치형 열이동 모델 연구의 자료를 제시하
였고, Jim(1998)은 알프스 주변에서의 지하수 온도와 하천과 지하수의 변동 특성을 평가하였으
며, Bravo et al.(2002)은 습지 지역에서의 지하수와 지표수의 상호작용과 지하수 유동 모형 구
축에 지하수 온도 계측 자료를 활용하였다. Christopher et al.(2007)는 습지와 하천 혼합대에서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지하수 유출량의 시간적, 공간적 변화 특징을 연구하였으며, Johnson et
al.(2005)는 지하수와 하천의 상호작용을 밝히기 위해 온도자료 사용을 위한 온도측정 장비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Rosenberry and LaBaugh(2008)는 지표수와 지하수 사이의 지속적인 열
흐름과 온도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지하수와 하천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강 지류 하천 주변의 충적층 선상지에서 온도 관측, 유향유속 검층, 지화
학 분석 등을 통하여 지하수와 지표수의 상호 작용을 평가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