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탐진강 심천보에 조성된 어도의 효율연구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탐진강 심천보에 조성된 어도의 효율연구
학술지명 한국환경과학회 저자 송행섭,황길순,황종서,심하용,허우명,임인수,김동섭
발표일 2011-11-03

1. 서 론
탐진강 본류에는 장흥댐 하류에 19개 수원공에 47개소의 어도와 댐 상류에 4개 보와 3개소의 어도가 설치되어 있다. 이밖에 지류에는 금사천 2개소, 강진천 3개소 등 탐진강 수계는 전국에서 어도가 가장 많이 조성되어 있는 지역 중의 하나이다(환경부, 2010). 이처럼 탐진강에 어도의 시공이 많은 것은 과거 탐진강이 은어와 뱀장어의 채집이 많이 일어났으며 이를 통해 지역민들의 소득원이 되어 시군에서 어류의 보호를 위해 노력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렇게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여 어도를 설치한 반면 시공 후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시공 후 설치된 어도도 어류가 계획대로 이동하는지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이 새로운 형식의 어도를 조성하여 대부분의 어도들은 어도의 기능을 판단할 수 없다.
탐진댐 직하류의 심천보에 조성되어 있는 어도는 1:20의 경사를 가진 아이스하버식 어도로 수로가 6개 존재하며, 장흥댐 직하류에 위치하고 있어 장흥댐의 발전을 위해 방류되는 수량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어도 하류에는 달뿌리풀이 우점하고 있으며 여울과 소가 잘 형성되어 있으나, 강진만에서부터 심천보까지 18개의 크고 작은 보가 조성되어 있고 형식에 맞지 않거나 시공이 잘못된 어도가 설치되어 있어 어류의 소상에 어려운 단점을 지니고 있으나 소상하는 회유성 어류의 파악이 가능하고 댐어도와 불과 2 km도 떨어져 있지 않아 어류의 이동범위와 서식 영역을 파악하는데 유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장흥댐 건설 전부터 농어촌연구원과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실시한 장기모니터링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장흥댐 직하류에 조성되어 있는 어도의 효율을 평가하고 댐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