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ARIMA모델을 활용한 연약지반 침하예측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ARIMA모델을 활용한 연약지반 침하예측
학술지명 한국지반환경공학회 저자 김재홍,임은상,이종욱
발표일 2011-09-30

시화MTV조성사업과 같이 연안에서 수행되는 단지조성사업에 있어서 가장 주요한 공정은 정해진 기간 내에 목표하는 압밀도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연약지반을 처리공정으로서 이 공정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시공 중의 성토량 파악과 장래침하의 예측을 위한 침하의 변화 파악이 필수적인 사항이라고 하겠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연약지반의 침하예측방론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이론은 Terzaghi의 탄성압밀이론으로서 비교적 간단히 그 해를 구할 수가 있고 실무에서 오랜 기간 사용해 왔기 때문에 그 공학적인 실용성이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 이론에 근거하여 압밀침하량을 산정하는데 있어서는 현장의 조건과 맞지 않는 가정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설계시 예측한 값과 현장에서 실제 측정된 값을 비교하면 실측치와 예측치에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기법이 실측(계측결과)치를 이용한 침하예측기법으로서 대표적인 방법에는 경험을 바탕으로한 예측기법인 쌍곡선법, Hoshino()법, log t법 등과 이론적으로 유도된 예측기법인 Asaoka법과 Monden법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장침하관리방법으로서 과거침하자료의 변화패턴을 바탕으로 미래의 침하량을 예측할 수 있는 시계열분석 기법 중 하나인 ARIMA모델을 이용한 최종침하량 예측방법을 제시하고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