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수생태계 복원을 위한 부유식 복합생물서식처의 개발 및 적용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수생태계 복원을 위한 부유식 복합생물서식처의 개발 및 적용
학술지명 한국하천호수학회 저자 김동섭,허우명,황길순
발표일 2011-08-18

부유식 복합생물서식처는 호수 및 보의 설치로 광범위한 수면이 형성된 수역에 적용하기위한 것으로 어류서식산란시설(특허 제10-0939204, 제10-0938596) 및 수달서식시설(특허 제10-1032837) 병합한 형태를 기초로하여 기능을 강화하고자 개발되었다. 개발된 시설은 수면에 시설되는 것으로 수달, 어류 그리고 패류의 서식 및 번식이 가능한 서식처를 제공하고, 부가적으로 조류의 쉼터 및 수질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의도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4대강 보에 적용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부유식 복합생물서식처는 보 상류의 하천 우안 완곡부 내에 시설되어 홍수시 유속의 영향을 피할 수 있도록 위치하였으며, 보의 어도와 연계되도록 하였다. 복합생물서식처의 내용 구성은 수달서식처, 어패류서식처(수중서식산란처, 수중어소서식피난처) 및 수질정화시설과 모니터링시스템의 전력공급시설로 구성된다. ①수달서식처는 전체구조물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FRP로 본체를 유지하여 수달의 서식공간 및 전체 구조물의 부력을 제공한다. 수달서식처는 3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하단부는 밀폐하여 완전부력공간으로하고, 수달서식공간의 바닥면을 수면과 동일 높이로 유지하도록 하였고, 내부는 빈공간으로 구성하였다. 이 공간은 수달의 서식공간에 필요한 보조물(예, 바위 등 기타)을 설치할 수 있다. 상판에는 수달서식공간과의 관리통로 및 빛 투과창을 시설하였다. 상부는 미끄럼방지 및 조경을 위하여 인조잔디로 덮고, 조류의 쉼터를 위한 솟대 및 인조나무, 조류 및 수달의 유인을 위한 실물 크기의 조류모형 및 수달모형을 배치하였다. ②수중어류서식산란처는 수달서식처의 좌?우측에 시설되며, 일단과 이단으로 구성하였다. 서식처의 상부에는 식물을 식재하고, 하단부에는 어란부착매체를 부착하여 어류의 서식산란을 유도하였다. 상부의 식물 및 하부의 어란부착매체는 어란이 부착되지않는 시기에는 수질정화의 기작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수중에 위치하는 2단 서식처는 밑면과 옆면이 밀폐(높이 20cm)된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저니토 및 모래를 포설하고 패류를 이입하였다. 2단 서식처는 패류이 서식 및 패류에 의한 간접적인 수질정화를 꾀하고, 수중의 어란부탁매체에 부착된 어란에서 치어 부화되면서 유영능력이 부족하여 아래로 떨어지는 치어의 침강을 방지함으로서 어란의 부화생존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③수중 어소시설은 본체(수달서식처)의 전?후측에 시설되는 것으로 출입구 및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는 구조물로 상부에는 코코넛롤에 식물을 식재하였다. 밀폐형 구조물은 출입구와 내부공간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어란부착매체를 부착하였다. 본 시설물은 어류의 산란보다는 피식자로부터의 피난 및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홍수시 강한 유속에 대응할 수 있는 피난처로서 기능하도록 하였다. ④수질정화 시설은 물의 유출입구가 있는 밀폐형 박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밀폐형 박스 내부에는 수질정화를 위한 접촉여재를 포설하였다. 박스 내부에서의 물 흐름은 바람을 이용한 닥트와 순환팬을 연결하여 자연에너지로 물의 순환을 유도하였다.  ⑤모니터링시스템 및 전력공급시설은 지상 및 수중카메라, 영상녹화기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고, 무선 영상송수신 시설을 인터넷에 연결하여 원거리 사무실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전력공급을 위하여 태양열(광)발전 설비를 시설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