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입수 주입 방법에 따른 최적 반응조건 도출 |
---|
학술지명 대한상하수도학회, 한국물환경학회
저자 김병군,서인석,김연권,김지연
발표일 2011-11-03
|
MBR 공정에서 소모되는 에너지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생물학적 처리 및 멤브레인 유지 세정을 위한 포기로서 전체 전력 중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Anoxic 반응조의 mixing은 9%의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다(Hribljan, 2007). 기존에는 수처리 효율에만 집중을 하였으나, 현재는 에너지 자립화를 위한 수처리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으며, 이를 위한 방법으로 미세기포산기장치 및 저동력, 무동력 교반 시스템을 도입하여 수처리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줄이고자 한다(환경부, 2010). MBR 공정은 반응조 내 MLSS 농도를 8,000~15,000 mg/L에서 운전하므로 슬러지 침전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고농도 미생물로 운영되는 하수처리공정에서 유입하수 주입방법에 따라서 슬러지 블랭킷에 하수 주입 방법에 따라 교반 없이 슬러지와 하수의 교란을 일으켜 무동력 형태의 교반 및 반응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입수 주입 방법에 따른 무교반, 무산소 조건을 유도함으로써 전력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최적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