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형광분석을 통한 인공호수 유역 토지이용에 따른 용존유기물 시공간적 분포특성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형광분석을 통한 인공호수 유역 토지이용에 따른 용존유기물 시공간적 분포특성
학술지명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저자 이승윤,이혜숙,정선아,김세원
발표일 2011-10-14

4TG의 DOM 분포특성 분석결과 HLF 계열에서는 Peak A가 평균 517 a.u.로 높게 나타났고, PLF 계열에서는 Peak T2가 1,386 a.u.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Peak T1, B1, B2도 각각 554 a.u., 476 a.u., 556 a.u.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Table 1~2). 반월공단 유역은 유역으로부터 미처리 공장폐수 및 하수 등 고농도의 오염물질이 유입되고 있어 HLF(난분해성물질) 및 PLF 계열에 속하는 오염물질들이 모두 강한 형광세기를 나타내고 있다. MS는 주로 HLF 계열에 포함되는 Peak C와 peak A의 형광세기가 각각 435 a.u., 694 a.u.로 높게 나타나 논과 밭 등 토양에서 기원하는 오염물질 유입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4TG에서 synchronous 분석결과 강우시 초기세척효과의 영향으로 공단유역 및 토구내 축적되어 있던 오염물질이 순간적으로 유출되어 PLF 형광세기가 높게 나타났다. 초기 급격하게 증가한 PLF는 첨두피크를 보인 후, 시간경과에 따라 빠르게 감소하는 DOM 유출특성을 보였다. MS에서는 synchronous 분석결과 PLF와 FLF는 유사한 형광세기를 보이며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THLF는 강우지속시간동안 강우영향으로 강우 중?후반까지 지속적으로 빠르게 증가한 후, 매우 느린 속도로 서서히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