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형광(Fluorescence)분석을 통한 군위댐 용존유기물 분포 특성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형광(Fluorescence)분석을 통한 군위댐 용존유기물 분포 특성
학술지명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저자 김세원,이승윤,김학철,송상진
발표일 2011-10-14

형광분석을 통해 유입하천 및 호내 용존유기물(DOM) 특성 분석 결과를 Fig. 2에 나타내었다. 상류 유입하천의 경우 단백질계 형광특성(protein-like fluorescence)이 나타나지 않았고, 하천수에서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는 펄빅산계열 형광특성(fulvic-like fluorescence)만 나타내고 있다. 반면 호내의 경우 단백질계열 형광특성이 강하게 나타나 조류와 같이 생물학적 기원을 가진 내부생성 용존유기물의 영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OD분석결과에서도 호내 COD농도가 평균 6.30 mg/L로 유입하천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COD 농도가 높은 지역에서 단백질계열의 형광특성이 높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댐 상류 유입하천과 호내 유기물에 대한 형광특성 분석결과, 유입하천의 경우 단백질계열의 형광특성이 나타나지 않고 있어 호내 유기물 특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원인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기물의 영향이 아닌, 호내 자체에서 조류 등에 의해 생성된 내부생성유기물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휴믹지표(Humification index, HIX)와 형광지표(Fluorescence index, FI)분석결과 유입하천보다 호내에서 HIX 값은 2.0~5.5로 작게 나타나고, FI 값은 1.68~ 1.80로 높게 나타나 생물학적 기원을 갖고 있는 내부생성용존 자연유기물질 성분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