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강우시 형광 3D-EEMs 분석을 통한 용존유기물(DOM) 시공간적 변화 및 분포 특성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강우시 형광 3D-EEMs 분석을 통한 용존유기물(DOM) 시공간적 변화 및 분포 특성
학술지명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저자 이승윤,김세원
발표일 2011-10-14

4TG에서 3D-EEMs 분석결과, 초기강우 시작 후, HLF(Peak A, C)와 PLF (Peak T1, T2, B1, B2) 영역에서 비강우시보다 강한 형광세기를 나타내고 있고 모든 영역에서 DOM 분포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강우시 초기세척효과로 유입된 유기물의 영향으로 사료된다. 일정 시간 경과 후(약 80 min, sample No. 5)에는 Peak C와 Peak T2 영역은 유량증가에 따른 희석효과로 인해 형광세기가 빠르게 감소하였고, 모든 영역에서 형광세기가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약 3시간 경과 시점(sample No. 10)에서는 Peak A와 Peak T2 영역에서만 매우 약한 형광세기를 보였고 flushing 효과로 인해 강우 전보다 각 영역에서의 형광세기가 약하게 나타나는 특성을 보였다. 
 AS에서는 강우가 시작되면서 Peak A, C(HLF)와 Peak T2(PLF) 영역 형광세기가 강하게 나타나는 특성을 보였다. 강우지속시간 약 3시간 후(sample No. 7) 부터 Peak C 및 Peak T2 영역의 형광세기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S에서는 3D-EEMs 분석 결과에서는 비강우시 형광특성에서 Peak A, C(HLF) 영역에서 강한 형광세기 분포를 나타내고 있고, Peak T2 영역도 형광세기가 나타나고 있다. 강우지속시간에 따라 Peak C 영역은 서서히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Peak A 영역은 시간변화에 따라 큰 변화가 없이 계속 강한 형광세기 분포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