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평화의 댐 주변 주요 하천에 분포하는 식물플랑크톤과 부착조류 군집의 시공간적 변화를 조사하였고, 계절에 따른 수위 증감 변동으로 인한 미세조류의 현존량 변동, 천이과정 등을 파악하였다.
식물플랑크톤 조사는 식물플랑크톤 네트(망목 20μm 크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취한 후 즉시 formalin으로 고정하였다. 부착조류는 조사 지점 주변에서 반듯한 3~5개의 돌 상부표면을 칫솔로 긁어내어 정용한 후, 영구표본을 만들어 동정하였다. 규조류는 Jensen(1984), Krammer and Lange-Bertalot(1986, 1988, 1991a, 1991b)를, 규조류 이외 다른 분류군은 Hegewald and Silva(1988), Hirose et al.(1977) 및 Prescott(1982)문헌을 참고하였다. 조사지점은 평화의 댐 지역 북한강 상류부(화천호 최상류부) 및 유입 소하천인 천미천에 해당하며, 총 5개 지점을 선택하였으며 2010년 5월과 10월에 총 2회 수행하였다.
1. 식물플랑크톤
조사기간 동안 관찰된 식물플랑크톤은 총 24속 37종으로 분류되었다. 주요 분류군은 규조류(75.7%), 남조류(5.4%), 녹조류(8.1%), 은편모조류(5.4%), 와편모조류(2.7%) 및 황색편모조류(2.7%)이었다. 식물플랑크톤 총세포수는 5월에 12∼75 cells/ml범위이었고, 10월에는 40∼1,680 cells/ml범위로써 5월에 비해 최대값이 크게 증가하였다. 천미천 구간의 St.1∼3의 세포밀도는 5월에 12∼50 cells/ml, 10월에 40∼480 cells/ml범위이었고, 댐상류인 St.5는 5월에는 75 cells/ml, 10월에는 1,680 cells/ml으로 천미천 구간보다 높았다. 또한 댐하류 St.4의 세포밀도는 5월에 50 cells/ml, 10월에 1,110 cells/ml으로 St.5보다 약간 적었다. 5월에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은 5개 지점에서 모두 상이하게 나타났고, 10월에 St.1, St.2에서는 Fragilaria vaucheriae가, St.3 및 댐상류(St.5), 댐하류(St.4)에서는 Cyclotella meneghiniana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부착조류
부착조류의 분류군은 총 19속 36종으로 정리되었고, 이 중 규조류가 16속 33종(94.3%), 남조류 1속 1종(2.9%), 녹조류 1속 1종(2.9%)이었다. 조사 시기별로 보면 5월에는 총 15속 33종이 관찰되었고, 10월에는 총 9속 17종이 관찰되었다. 천미천의 St.1과 댐상류 지점에서 각 17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나타났고, 지점별 종조성은 천미천 구간과 댐상류, 댐하류 지점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다. 5월에 부착조류 우점종은 댐상류 지점에서만 Navicula pseudolanceolata이었고, 나머지 4개 지점에서는 모두 Synedra ulna가 우점하였다. 10월에는 천미천의 St.1∼2에서만 조사가 이루어졌는데 두 지점 모두 Cymbella tumida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