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국내 주요 대댐의 내진설계 및 지진대비 현황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국내 주요 대댐의 내진설계 및 지진대비 현황
학술지명 한국지진공학회 저자 신동훈,하익수,이봉수,김진수
발표일 2011-09-30

일본 고베지진(1995), 타이완 지지(Chichi)지진(2000), 우리나라 남해안 지역 및 대도시 지역에서 지반 흔들림이 감지된 일본 후쿠오카지진(2005), 최근의 동일본대지진(2011), 중국 쓰촨성대지진(2008), 일본 이와떼?  미야기지진(2008) 같은 한반도 주변지역에서의 지진발생 사례와 함께 한반도내에서 최근 발생된 강원도 월정사지진(2007) 등은 한반도의 지진발생 빈도 증가와 더불어 지진에 대한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경각심과 함께 지진 피해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있다. 그리고 최근 동일본대지진 진앙지 주변지역에 위치한 많은 댐들에 크고 작은 지진피해를 발생시켰다. 특히, 중국 쓰촨(四川)성 대지진(M 8.0)은 쓰촨성 일대 약 400개의 중대형댐에 크고 작은 손상을 입힘으로써 지진대비 댐시설물 안전관리에 대한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댐 시설물은 국민생활과 안전에 밀접한 공공성이 강한 국가 주요시설물이므로 댐 관리주체는 지진대비 댐의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지진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의무를 가지고 있다. 원자력발전소는 1972년, 건축물은 1988년, 교량은 1992년에 내진설계가 제한적이나마 도입된 것과 마찬가지로 댐도 1979년 댐시설기준이 제정되어, 시설기준내에 다목적댐을 중심으로 내진설계 개념이 반영되어, 1983년, 1993년 개정작업을 거쳐, 2001년 댐설계기준으로 개명 제정되고, 2003년과 2005년의 개정작업을 거쳐 현재의 댐설계기준에 이르고 있다. 일반적으로 댐은 구조물의 기하학적 형상이 매우 안정적이며 매우 육중한 구조물로서 타 구조물에 비해 지진에 대해서는 비교적 안정적인 거동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과거의 피해사례를 분석한 연구에 의하면 지진에 대비해 잘 설계되고 시공된 댐에는 피해가 없거나 경미하였으나, 지진하중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설계, 건설된 댐에는 지진에 의한 피해가 컸던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현재 댐설계기준(당시 건설교통부, 2005)에서 정의한 대댐, 즉, 높이 15m이상인 댐 중 중요도가 큰 국내 다목적댐과 용수전용댐을 중심으로 내진설계 현황 및 내진대책을 기술하고자 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