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토지이용현황이 다른 인공호수 수계 유입하천의 오염물질 유출특성 및 오염부하량 산정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토지이용현황이 다른 인공호수 수계 유입하천의 오염물질 유출특성 및 오염부하량 산정
학술지명 한국생물과학협회 저자 오종민,김세원
발표일 2011-08-19

강우시에는 모든 하천에서 SS 농도가 약 10~20배 이상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특히 농촌유역 하천 중 JJB에서 최대 2,684 mg/L, 평균 310 mg/L의 매우 높은 현탁성오염물질 유출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영향에 따른 CODMn 유출농도는 4TG에서 초기세척효과 영향으로 강우초기 일시적으로 고농도의 유기물이 유출되어 최대 383.2 mg/L의 고농도 유기물이 유출되는 현상을 나타내었지만, 전반적으로 유량증가에 따른 희석효과로 인해 평균농도는 비강우시보다 낮게 나타났다. 각 하천에서의 오염부하량-유출유량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모든 하천에서 β 값의 범위가 1.0 이상으로(TN 제외) 유량증가와 함께 오염물질 농도가 증가하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각 소유역별 단위면적당 유입오염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공단유역에서는 반월공단 토구에서 발생하는 단위면적당 오염물질(SS, CODMn, TN, TP) 유입오염부하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각 하천별 유역면적을 고려하지 않는 조건에서 단위면적당 발생되는 유입오염부하량을 비교할 경우, CODMn는 공단유역>농촌유역>도심유역 순으로 단위면적당 유입오염부하량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N과 TP는 공단유역>농촌유역>도심유역 순으로 나타났고, 특히 공단유역 중에서도 반월공단 유역 유입하천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