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도관망에서 수중의 입자성 물질분석 및 영향 |
---|
학술지명 대한환경공학회
저자 주혜은,황진수,이두진,김도환
발표일 2010-05-06
|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관망의 수질조사를 수행하면서 수중의 입자성 물질들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였으며, 대상지역은 SC정수장과 정수장에서 처리되어진 정수를 공급하는 각 계통들의 배수지 및 관말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SC정수장에서는 원수와 최종처리수를 채수하였고 송ㆍ배수관의 각 배수지와 급수관 관말지역의 소화전 및 수도꼭지에서 채수하여 수질을 조사하였다. 각 조사지점에서의 입자성 물질을 포집하기 위해 47?의 GF/C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를 수행하였고 정수장에서는 원수 15L, 정수 200L를 각각 채수하여 여과하였다. 관망에서 DC배수지와 SH배수지 유출수는 각각 200L, SH배수지 관말지역의 소화전과 SP배수지 관말지역의 수용가는 각각 200L와 190L를 채수하여 여과를 실시하였다. 각 조사지점의 수질분석 항목은 TSS(Total Suspended Solids), VSS(Volatile Suspended Solids), 탁도, DOC(Dissolved Organic Carbon), TDS(Total Dissolved Solids), 알칼리도, 경도 및 ICP-MS(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수중의 미량원소들을 분석하였고, 여과후의 입자성 물질의 성분분석 항목은 XRD(X-ray diffraction)를 이용하여 화합물의 정성 및 정량분석과 ICP-MS를 이용하여 미량원소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상지역의 상수도관 종류는 대부분 강관(SP) 및 닥타일주철관(DCIP)인 금속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