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로내 수질의 안전성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한 평가항목, 방법, 절차 등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다양한 수질인자를 종합하기 위하여 수질안전성, 수질변동성, 시설건전성 등 제시하였으며, 배수구역간, 시설간 변동성과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수질기준 위반율(Ratio of Violation):
각 항목별로 전체 수질분석 횟수에 대한 수질기준을 초과한 횟수의 비율이며, 비율이 클수록 수질안전성이 낮은 지점이다.
?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
각 항목별로 정수장 수질에 대한 해당 지점 수질의 비율(수질기준 위반 샘플제외)이며, 가장 변동계수가 높은 항목을 대표 계수로 선정하고 변동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수질안전성이 높은 지점이다.
? 신뢰도(Reliability) :
각 항목별로 평균수질에 대한 변동계수를 도출하고, 백분위와 정규백분위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신뢰성을 평가함. 수질기준을 만족할 신뢰도가 높은 순으로 수질안전성이 높다.
? 수질안전성 평가(Index of Water Quality) :
수질항목별 수질기준 대비 구간별 안전성 점수를 책정하고, 각 항목간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 지점별 수질안전성을 점수화한 지표이다. 항목간 가중치는 전문가집단의 설문조사를 통한 AHP(Analytical Hierarchical Process)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우리나라 수도꼭지 수질기준 13개 항목에 대하여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 시설건전도(Index of Infrastructure Performance) :
정수장에서 수도꼭지에 이르는 관로시스템의 각 단계별 즉, 송수관로, 배수지, 급배수관로 별로 수질변동성을 평가하고, 변동비율 구간별로 건전도를 점수화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