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기후변화에 따른 대청댐 유역 강수 및 온도 A1B 시나리오 분석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기후변화에 따른 대청댐 유역 강수 및 온도 A1B 시나리오 분석
학술지명 대한토목학회 저자 권현한,박진혁,이정주,소병진
발표일 2010-12-24

본 연구에서는 대청댐 유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강수 및 온도의 변동성을 평가하였다. 기상청에서 제공되는 A1B 시나리오 기반에 지역기후모델 모의 결과를 기본 자료로서 이용하였다. 기본적으로 GCM 및 RCM은 시공간적 스케일의 상이성으로 인해 수자원 영향 평가를 위한 자료로서 직접적인 이용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RCM 격자자료를 유역단위에서 강우관측소 지점 단위로 공간적 Downscaling을 실시하였으며 RCM 월자료에 대해서 일단위 자료로 시간적 Downscaling을 수행하여 기후모델로부터 발생하는 시공간적 스케일의 문제점을 극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단위에 상세수문시나리오를 생산하기 위해서 다지점 비정상성 Downscaling 기법을 활용하였다. 다지점 비정상성 모형은 유역단위에 유역 상관성을 복원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통계학적 축소기법으로서 모의된 자료가 관측자료에 상응하는 공간상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또한 기존 일강수량 모의기법에서 간과되었던 비정상성이 고려됨으로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입력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서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대청댐 유역 강수사상의 변동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모의된 강우사상과 연동해서 온도 추정이 가능한 강우-연동 온도 Downscaling 기법을 개발하여 이를 통해서 대청댐 유역 상세 온도 시나리오를 생산하였다. 따라서 모의된 온도자료의 경우에도 유역 내 관측소간 상관성이 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대청댐에 경우 A1B 시나리오 기준 강수일수 감소 및 강우량 감소가 전망된다. 

목록